자비출판? 기획출판? 그게 뭐지?

기획출판

한 줄 요약출판사가 돈을 내며 출판사가 "기획을 하는 형식"입니다. 저자는 판권을 제공하는 대신 부담이 적은 형태의 출판방식입니다.

원고와 출간기획서를 작성하여 출판사에 투고합니다. 만약 저자의 파급력이 큰 경우 출판사 측에서 먼저 연락이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. 


[장점]

작가는 금전적인 리스크가 거의 없습니다. 대부분 출판사에서 돈을 투자하고, 출판사에서 도서판매금액의 50% 정도를 가져가기 때문에 출판사의 마케팅 의지가 높습니다. 

[단점]

투고의 성공 가능성이 낮습니다. 평균 업계에서는 성공율을 1%미만이라고 이야기합니다. 
결국 책을 판매해야 하므로 ‘상품논리’ 도서 위주로 출판될 수밖에 없습니다. (‘전문성’ 보다는 ‘유명세’)
아무리 잘 쓴 책은 많지만 결국 알려지지 않는다면 판매는 일어나지 않습니다.

인세도 매우 낮은 편입니다. 초보 저자의 경우 5~8%정도로 산정됩니다.

자비출판

한 줄 요약책을 내고 싶은 사람들이 많아짐에 따라 "돈을 받고 책을 만들어 주는 책출판 서비스"가 탄생했습니다. 저자는 쉽게 책을 내고 전문적인 마케팅 서비스를 누릴 수 있습니다.


[장점]


책출판이 쉽습니다. 일부 출판사에서는 무작정 돈을 받고, 원고의 퀄리티와 상품성을 생각하지 않고 책을 내주는 경우가 많습니다. 독자가 흥미를 못느낄 책이라도 일단은 만들어 줍니다. 

또한 인세가 높습니다. 50% 주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 다만, 책의 제작비 등 초기투자를 한 부분을 감안하면, 순이익에 해당하는 기획출판에서의 인세와 단순 산술비교를 하기는 어렵습니다. 

 

[단점]


일반적인 출판사 기준으로 기획출판에 비해 책의 퀄리티가 떨어집니다. 


출판사가 책을 만들 때는 평균 2000만원 이상의 예산을 책정합니다. 그에 비해 자비출판사는 300만원 정도로 책을 만들어야 합니다.

그나마 300만원을 전부 투자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, 출판사 수익을 내야 하죠. 실제 들어가는 금액은 그보다 적습니다. 

저자가 돈을 내는 구조이고, 가격 경쟁을 하다 보니 퀄리티를 낮출 수 밖에 없습니다.


또한 저자의 인세가 높으니, 대부분의 출판사에서는 마케팅을 눈에 보이는 몇개만 제공합니다. 

서점에서 40%를 가져가고 저자에게 40% 주게되면 출판사는 이득이 없습니다. 

팔아도 물류비용, 창고비용, 행정비용 등 비용들을 감당하기 어렵습니다. 

그래서 일반적으로 마케팅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보통 형식적으로 진행합니다. 

책을 냈는데 자비출판은 서점에  내 책이 없는 경우가 대다수 입니다. 

다만 이런 단점은 출판사의 생존을 위한 자연스러운 시장의 흐름입니다.

논문부터 책 집필까지

드림출판사가 도와드리겠습니다.

논문부터 책 집필까지

드림출판사가 도와드리겠습니다.